자세한 설명은 도움말 을 참고해주세요

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토스 '심플리시티24' 세션 후기
    공부/Tech 2024. 11. 12. 23:10

    안녕하세요, 용구모어입니다.

    프로덕트 매니징, 디자인에 굉장히 관심이 많은데요.

    프로덕트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토스는 언제나 좋은 레퍼런스가 되는 회사입니다.

     

    토스는 감사하게도 블로그나 유튜브에서

    자신들이 어떻게 일하고 있는지

    일하는 방식을 공유해 줍니다.

    저 또한 사이드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토스의 일하는 방식을 찾아보고

    배워서 적용해 보려고 노력했어요.

     

    이번에 토스의 디자인 컨퍼런스 '심플리시티24'가 개최되어

    바로 세션을 들어보았습니다.

     

     

    주제는 'Simple Question, Big Wins:

    성공의 문을 여는 가장 평범한 질문'입니다.

     

    주제를 보고 기대가 커졌는데요.

    이번 컨버런스 세션들을 통해

    문제해결 과정에서의 인사이트도 얻을 수 있지만,

    질문을 던지고 구체화 하는 것에 대한 인사이트

    얻을 수 있지 않을까 기대했어요.

     

    '질문'과 '호기심'이 문제해결에 중요하다는 것은

    많은 이들이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바쁜 일들을 하는 와중에

    스쳐지나가는 생각을 붙잡고,

    당연하게 익숙해진 것을 새롭게 바라본다는 건

    매우 어려운 일이죠.

     

     

    저는 모바일로 듣기는 했는데,

    크롬 데스크탑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 있다고 해요.

    키보드를 이용해 앞/뒤 이동을 할 수 있는데

    모바일에서는 이 기능을 이용하기 어렵습니다.

     

     

    온라인 컨버런스 개최를 위해

    많은 분들의 노력이 있었네요.

    무료로 퀄리티 높은 컨퍼런스를 편하게 접할 수 있음에

    감사한 마음이 듭니다.

     

    이번 컨퍼런스의 모든 연사들은

    '툴즈 프로덕트 디자이너'로 구성 되어있어요.

    그래도 프로덕트를 다루는 모든 직군에게

    도움이 될만한 이야기로 가득했습니다.

     

     

    3가지 트랙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11가지의 세션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제목은 문제해결을 이끌어냈던 질문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서비스를 기획하며 한 번쯤 고민해보거나

    스쳤던 질문들이 많아서,

    '뭐부터 들어야하나, 다 빨리 듣고 싶다'

    생각이 들었네요.


     

    오늘은 우선 두 가지 세션만 들어보았어요.

    아래에 후기는 남기지만

    직접 듣는 게 훨씬 좋으니

    꼭 들어보시길 추천 드려요.

     

    세션 당 약 15~20분 정도였고,

    배속으로 들으면 10분 내로 들을 수 있어서

    부담이 없습니다.

     

    -

     

    [Wise Whys] 우선순위가 없을 떄 디자이너는 어떻게 해야 할까?

     

     

    '우선순위가 없을 때'라는 말에 공감이 확 와닿아서 선택했어요.

    현재 진행 중인 웹 서비스 프로젝트에서

    언제나 '우선순위' 정하는게 어려웠어요.

     

    8명의 팀원이 담당하는 파트가 다르다보니

    모두가 생각하는 우선순위는 조금씩 달랐고,

    무엇을 기준으로 삼아야하는 지

     저 조차도 참 헷갈렸거든요.

     

     

    이지현 디자이너는 각자 뭘하고 있고 무엇이 문제인지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를 느낍니다.

    그 이유가 역할자별로 그 여정을 잘 모른다는

    문제 때문이라고 생각했어요.

     

    "도대체 지금의 상황이 뭐지?"에 대한 질문에

    답을 내리기 위해

    '셀러', '운영팀', '제안팀'의

    유저맵을 그려 한판에 볼 수 있게 그렸다고 해요.

     

    이를 통해 각 역할의 업무 프로세스를 알고

    어떤 것이 문제고 해결을 해야하는지

    파악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이렇게 정리된 내용을 바탕으로

    비즈니스적, 운영 효율적인 면을 기준으로

    우선순위로 해결해야할 문제를 제안하셨다고 해요.

     

    이 맵을 그려내는 과정, 결과를 팀원들과 공유하니

    기존에 달랐던 생각들이 맞춰지고

    공감과 신뢰를 얻는데에도 큰 도움이 되었다고 해요.

     

    이 내용 외에도 해결하기로 한 문제를

    어떤 방식으로 해결하셨는지,

    어떻게 수치적으로 결과를 판단하셨는지

    자세하게 세션에서 말씀해주셨습니다.

     

    불필요한 운영 시간이 줄어들고

    중요한 업무에 집중할 수 있게끔 만든,

    비즈니스적인 임팩트도 이끈

    인상깊은 문제해결이었습니다.

     

    "큰 숲을 보는 움직임"

    잊지 않고 저도 적용해 보겠습니다!

     

    (저도 이런 임팩트로

    박수갈채를 받는 날이 오겠죠...?)

     

    -

     

    [Noise to Melody] 어려운 기능 꼭 설명해야 할까?

    정말 프로덕트를 만드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 해보셨을 질문이라고 생각해요.

     

    저는 요즘 온보딩 부분을 고민하고 있어서

    비슷한 질문들을 많이 던지고 있어요.

    "설명을 하지 않아도 되는 서비스가 좋은 서비스가 아닐까?"

    "사용자가 기능들을 잘 이해하고 사용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이런 고민을 하던 저에게

    가장 흥미롭던 제목이었습니다,

     

     

    일주일에 한 번 정도 사용하는 기능을

    디자인 변화만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으로 바꾸어 낸

    스토리.

     

    기준에 따라 데이터를 묶어볼 수 있는 기능을

    'Group By'라는 명칭을 사용해서

    보여주었을 때는

    사용자들이 이 기능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필요할 때 찾아내지 못했다고 해요.

     

    그래서 '특정 기준으로 묶어보기'라고 명칭도 바꾸어보았는데

    소용 없었다고 하죠.

     

    사용자 인터뷰에서 힌트를 얻었다고 하는데요.

    '성별', '연령'이라는 예시로 설명을 드릴 때

    이해를 하시는 모습을 보고

    이걸 드러낸 디자인으로 바꾸었다고 해요.

     

    그랬더니 사용자들이 저 버튼을 누르기 시작했죠.

     

    데이터에서는 볼 수 없는

    정성적인 맥락에서 힌트를 얻은 것이죠.

     

    피자를 고정해주는 삼발이.

    저 이름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지만

    누구나 저 용도를 알고 있죠.

     

    서비스에서도 마찬가지로

    사용자들에게 이름의 의미를 알려주고

    긴 설명을 하는 대신

    익숙한 경험을 보여주는 것

    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는 거죠.

     

    기능의 이름을 몰라도, 설명이 없어도

    사람들이 경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사용자의 보이스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느꼈고

    '익숙한 경험을 보여준다'는 새로운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는 세션이었습니다.

     


     

    여기까지 두 가지 세션 후기였습니다.

    앞으로 다른 세션들도 보고 후기 들고 올게요 :)

     

     

     

    세션은 아래 링크에서

    인터랙션 디자인이 적용된 화면으로

    들으실 수 있어요 ⬇️

     

    https://toss.im/simplicity-24

     

    Toss Design Conference | Simplicity24

    Product Designer (Tools) 특별편 - Simple Questions, Big Wins

    toss.im

     

    댓글

Designed by Tistory.